본문 바로가기
PRODUCT MANGER STUDY/CODESTATES_PMB_DAILY_HW

모바일 웹, 웹 앱,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 코드스테이츠 PMB14 기 | W7D2

by 소소여니 2022. 10. 13.
728x90

모바일 서비스 유형을 모바일 웹, 웹앱, 네이티브앱, 하이브리드 앱으로 나눌 수 있다!

요즘은 크로스드앱 이라는 분류도 있던데, 일단 오늘은 위의 네개 영역으로 나누어서 그 특징과 장단점을 알아보고자한다!

 

모바일 서비스 그거 다 똑같은 거 아니야? 그냥 냅다 개발해서 배포하는거지!! 라고 생각했던 무지했던 나를 반성하며.. 

시작!


모바일 웹 & 웹 앱

https://blog.codef.io/app_kinds/

모바일 웹은 말 그대로 모바일 화면에 최적화된 반응형, 적응형 웹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url 앞에 m을 붙이면 나오는 모바일 버전의 웹사이트라고 보면 된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는 형태로, 일반적인 웹 기술로 개발 할 수 있다. 

 

웹 앱은 모바일 웹과 같으나 겉모습이나 구동방식을 앱인 것 처럼 작동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네이티브 앱처럼 보이고, 기능 또한 앱과 동일하게 구현되지만, 웹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앱을 ‘웹 앱(Wed APP)’이라고 한다. 네이티브 앱과 달리 웹 앱은 웹 기반의 HTML, CSS, Javascript 등을 활용하며, 별도의 앱 파일을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작동된다. 

 

장점

  • 인터넷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표준 웹 언어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개발 기간도 짧은 편이다.
  • 수정사항이 생겨도 앱 마켓의 심사를 거치치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업데이트 속도가 빠르다.

단점

  • 디바이스에 접근 권한이 없기 때문에 카메라나 음성 인식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없다.
  • 앱 설치 대신 브라우저 실행 및 url 입력이나 별도의 링크 클릭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해서 번거롭다.
  • 네이티브 앱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동 속도가 느리고 안정성도 떨어진다.

🤔 모바일 웹 vs 웹 앱

모바일 웹의 경우 PC를 기준으로 제작된 뒤 모바일 화면 규격에 맞게 폰트나 이미지 등을 바꾼 것이고, 화면의 일부분이 바뀔 때 전체를 서버에서 새롭게 불러오는 풀 브라우저 방식(Full Browsing)을 사용한다. 

웹 앱은 처음부터 모바일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훨씬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모바일에 설치하는 앱이 아니므로 카메라나 음성 등 디바이스의 자체 기능에 접근은 할 수 없습니다.  또한 화면의 일부분이 바뀔 때 변경이 필요한 부분만 바꾸는 단일 페이지 방식(SPA, Single Page Application)을 사용합니다.따라서 웹 앱이 모바일 앱보다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라는 특징이 있다. 

네이티브 앱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이를 기반으로 구동되고, 따로 인터넷을 거치지 않고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앱을 의미한다.

ex)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토스 등 앱스토어나 구글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모든 앱

장점 

  • 빠르고 안정적인 앱 포퍼먼스 
  • 다양한 모바일 기기 기능 활용 (위치, 갤러리, 카메라, 지문 등)
  • 높은 디자인 완성도
  • 애플이나 구글에서 자체 SDK 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제공

단점

  • 개발 리소스가 많이 필요하다.  
  • IOS , 안드로이드 개별로 개발해야한다.  (각 운영체제마다 사용하는 SDK가 다르기 때문)
  • 인앱 결재에 대한 수수료 이슈가 있다.  
  • 앱에 수정사항이 생기는 경우 앱 마켓의 심사를 거치고 전체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한다.

하이브리드 앱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은 네이티브 앱과 웹 앱의 개발 방식을 모두 사용한다. 앱의 화면이나 기능 등 콘텐츠 영역은 웹 기반으로 제작하고 겉모습은 앱 마켓 등록과 설치를 위해 네이티브 앱으로 포장한 것이다. 두 가지 개발 방식을 이용하므로 웹과 앱의 API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앱에서는 불가능 했던 디바이스 자체 기능에 접근할 수 있다.

 

네이티브 또는 크로스 플랫폼 방식으로 앱을 만들되 화면 안에 요소를 직접 만들지 않고, 브라우저 역할을 하는 웹 뷰라는 요소를 만들어 대신 웹 화면을 띄운다. 그러면 웹 뷰는 지정된 주소로 접속해서 웹 앱 형태로 만들어진 웹사이트를 화면에 보여준다. 사용자는 이 웹 뷰를 통해 웹사이트로 만들어진 기능을 앱 기능처럼 사용한다.

 

장점

  • 웹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지만, 모바일 API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의 자체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 네이티브 앱에 비해 개발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한 번 개발해두면 패키징을 바꾸는 방식으로 여러 플랫폼에 대응할 수 있다.

단점

  • 네이티브 앱 개발 지식이 필요하다.
  • 브라우저의 성능이 떨어지면 앱 구동 속도가 저하된다.
  • 네이티브 앱에 비해 디자인의 자유도가 떨어진다.

     내가   PM이라면    

내가 어떤 신규 프로덕트의 PM이라면 어떤 형식의 앱을 사용할 것인가. 

오늘 과제를 통해서 앱 서비스의 유형별 특징과 그 장단점을 알게 되었다. 그럼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음 이런 장단점 만으로는 어떤 형태를 사용해야해! 하기 보단 내가 기획하는 프로덕트의 특성과 현재 프로덕트에 투자할 수 있는 리소스를 파악해서 결정을 내릴 것 같다. 

예를 들어 도구적인 역할을 하는 어플이라면 사용자들에게 만족스러운 사용감과 편리성을 제공해야하므로 네이티브앱 형식을 사용할 것 같다. 또 커머스앱이라면 네이티브앱의 장점과 웹의 장점도 이식하기 위해 하이브리드앱을 사용할 것같은데 만약 모바일 서비스 뿐만아니라 웹 형태로도 동시에 오픈할 계획이고, 개발 인력이 한정적이라면 앱 형태보단 웹 앱이나 모바일 웹 형태로 개발을 진행할 것같다. 

 

 

https://blog.codef.io/app_kinds/

 

앱의 종류 : 네이티브 앱 vs 웹 앱 vs 하이브리드 앱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개씩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다. 앱을 설치한 뒤 버튼을 터치하고 여러 과정을 거치지만 사용자에겐 대부분의 앱들의 화면 구성이나 구동 방식이 비슷하게 느껴

blog.codef.io

https://hongong.hanbit.co.kr/%EB%AA%A8%EB%B0%94%EC%9D%BC-%EC%95%B1-%EC%A2%85%EB%A5%98%EB%84%A4%EC%9D%B4%ED%8B%B0%EB%B8%8C-%EC%95%B1-%ED%81%AC%EB%A1%9C%EC%8A%A4-%ED%94%8C%EB%9E%AB%ED%8F%BC-%EC%9B%B9-%EC%95%B1-%ED%95%98/

 

모바일 앱 종류와 특징 - 네이티브 앱, 크로스 플랫폼, 웹 앱, 하이브리드 앱

스마트폰 앱인데 웹사이트라고요?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어떤 특징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관련된 용어와 개념을 학습

hongong.hanbit.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