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DUCT MANGER STUDY/CODESTATES_PMB_DAILY_HW

애자일 그게 뭐죠? _ 스크럼과 스프린트 프로세스 개념 정리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8D2

by 소소여니 2022. 10. 19.
728x90

 

애자일 그게 뭐죠?
스크럼과 스프린트 프로세스 개념 정리

어느덧 마지막 몰입학습 주간!

이번주엔 에자일에 대해 배우고 있는데 오늘은

스크럼에서 프로덕트 오너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떻게 에자일하게 일하는지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해보자!


🚀 스크럼이란

스크럼은 사람과 팀, 조직이 복잡한 문제에 적응할 수 잇는 해법을 활용하여 가치 창출하도록 도와주는 경량 프레임워크이다.

스크럼은 경험쥐의와 린 씽킹을 기초로한다.

**[ 경험 주의 ] 는 경험과 관찰한것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으로 부터 지식을 얻는 것이다.

**[ 린씽킹 ] 은 낭비를 줄이고 본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 How to Scrum

1. [ 계획 ]  프로덕트 오너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업무를 우선 순위에 따라 프로덕트 백로그에 정렬한다.
2. [ 진행 ] 스크럼 팀은 선택한 업무를 스프린트 동안 가치의 증가분으로 만들어낸다.
3. [ 회고 ] 스크럼팀과 이해관계자들은 결과물을 점검하고 다음 스프린트를 위해 조정한다.

🚀스크럼 팀

**스크럼 마스터 1명 , 프로덕트 오너 1명 , 개발자들**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오너는 백로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스크럼 팀의 결과물인 프로덕트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책임을 갖는다.

프로덕트 오너는 최종 책임을 가지며, 백로그와 연관된 많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대표한다.

효율적인 백로그 관리

  • 프로덕트 목표를 세우고, 명쾌하게 소통
  • 백로그 아이템을 생성하고 소통
  • 백로그 아이템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
  • 백로그를 투명하고 가시적이며 이해가 잘 되도록 만듦

 

스크럼 마스터

스크럼 마스터는 스크럼 팀을 효율적으로 만들 책임이 있다.

스크럼 프레임워크 안에서 스크럼 팀이 그들의 실천법을 향상 시키도록 한다.

하는 일

  • 스크럼 팀의 진척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
  • 스크럼 팀이 완료의 정의를 충족하여 높은 가치를 갖는 증가분을 만드는데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것
  • To 프로덕트 오너
    • 효과적인 프로덕트 목표 정의와 백로그 관리를 위한 기술을 찾는 것을 돕는것
    • 백로그의 필요성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
  • To. 조직
    • 조직내 스크럼 실행을 계획하고 조언
    • 이해관계자들과 스크럼 팀들 사이의 장벽을 제거하는 것

☝🏻  프로덕트 오너   v.s.   스크럼 마스터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던대, 한 팀에 안에 오너와 마스터 라니! 
이둘의 역할은 어떻게 다르고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

[ 프로덕트 오너
] : 프로덕트에 집중. 프로덕트 진행 관리

[ 스크럼 마스터 ] : 스크럼 프레임워크에 집중, 스크럼팀 진행 관리

스크럼 마스터는 프로덕트 오너가 프로덕트 오너의 역할에 더 집중하고 더 효율을 낼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돕는다. 

🚀스프린트

꾸준함을 갖기 위해 한달 또는 그보다 짧은 기간으로 고정된 길이의 이벤트 .

새로운 스프린트는 직전의 스프린트가 끝나는 즉시 시작한다.

스프린트의 장점

  • 주기적으로 프로덕트 목표 대비 진척을 점검하고 조정할 수 있어 프로젝트 진척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 스프린트 기간이 짧을 수록 더 많은 학습 기회를 가질 수 있고, 리스크를 한정시킬 수 있다.

 

How to Sprint

Step 1 _ [  스프린트 계획 ]

해당 스프린트 동안 수행할 업무 선정 - 스크럼 팀 전체 참여 - timeboxed

프로덕트 오너의 역할

  • 프로덕트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아이템 선정
  • 선정한 아이템들이 프로덕트 목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참여자들이 논의할 수 있도록 준비

스프린트 계획 주제

  1. [스프린트 목표] - 이 스프린트가 왜 가치 있는가?
  2. [스프린트 완료] - 이 스프린트의 완료는 무엇인가? Done
  3. [업무 계획] - 선정한 일을 어떻게 완료할 것인가?

Step 2 _ [ 데일리 스크럼 ]

매일 같은 시각 같은 장소에서 시행하는 스크럼 팀의 개발자들이 참여하는 15분 길이의 이벤트.
스프린트 목표 대비 진척 점검 및 다음 업무 계획 변경, 백로그 조정.

(필요에따라 프로덕트 오너나, 스크럼 마스터도 참여가능)

 

Step 3 _ [ 스프린트 리뷰 ]

결과물 점검, 향후 적용할 것들 결정

How to 스프린트 리뷰

  • 스프린트에서 성취한 것, 비즈니스 환경에서 변한 것 검토
  • 다음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논의
  • 프로덕트 백로그 수정

발표로만 끝내는 시간이 아니다.

 

Step 4 _ [ 스프린트 회고 ]

품질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 계획 지난 스프린트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점검

 

☝🏻 스프린트 리뷰 v.s. 스프린트 회고

리뷰와 회고 모두 지난 과정을 돌아보는 것아닌가? 둘이 왜 따로따로 진행하는 걸까? 
이 두과정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생각해보자. 

[ 스프린트 리뷰 ]
: 스프린트 결과물에 대한 점검

[ 스프린트 회고 ] : 스프린트 과정에 대한 점검

둘다 지난 스프린트를 돌아보며 앞으로 어떻게 할지 점검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이다. 
그러나 스프린트 리뷰는 결과적으로 나온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해 리뷰하는 것이고,
스프린트 회고는 스프린트 과정에서의 일하는 방식에 대해 회고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무엇"을 되돌아보냐의 차이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