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U S I N S A
브랜드 패션 쇼핑은 다 무신사랑 해
8주간의 위클리 과제도, 무신사랑 해
# 4 무신사, 달까지 가자 !
[ 무신사의 Growth point 와 Funnel 분석 ]
무신사는 패션 플랫폼 거래액 2조 시대를 열었다.
2021년 무신사는 지난해의 90%를 상회하는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고
패션 커머스 시장에서 단연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무신사는 어떻게 Growth Point를 찾아 프로덕트를 이렇게 성장 시킬 수 있었을까?
무신사의 Growth Point 와 Funnel 분석을 통해 무신사의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해보자
📌 Growth point 분석
✔️ 무신사의 성장 _ 거래액 2조
무신사, 29CM, 스타일쉐어, 솔드아웃 등 지난해 무신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패션 플랫폼의 거래액 총합이 2조 3000억 원을 기록하며 패션 플랫폼 최초로 거래액 2조 시대를 열었다. 도프제이슨, 라퍼지스토어, 리, 마크곤잘레스, 예스아이씨, 예일 등 10~20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국내 브랜드의 매출 신장이 주효하게 작용했다. 럭셔리, 스포츠와 아웃도어, 글로벌 컨템포러리 브랜드의 인기도 거래액 상승을 견인했다. 고객 활성화 지표도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는 400만 명에 달하며, 회원 수는 2020년보다 약 30%가량 증가하며 1000만 명을 넘어섰다.
✔️ 현재 무신사의 Growth 전략 _ 타겟과 카테고리 확장
무신사의 공식 보도자료에 따르면 올해 무신사는 타깃과 카테고리를 확장하기 위해 키즈와 3545 여성 패션 서비스를 신규로 오픈할 계획이다. 지난해 큰 폭으로 성장한 명품, 골프 스포츠, 뷰티 카테고리는 전문성을 강화하고 고객 유입을 늘리기 위한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무신사의 Growth Point : 타겟과 카테고리 확장
[카테고리 확장]
무신사는 원래 신발 커뮤니티에서 시작된 패션 커머스 서비스 이다. 따라서 초반엔 신발과 남성의류에 치중되어 성장을 이루웠지만, 요즘은 그 영역을 공격적으로 넓혀 나가고 있다. 지난해부터 부티크와 콜프 등의 신생 카테고리를 오픈하여 꾸준히 성장중이다. 부티크 카테고리도 소품, 의류에서 시작해 가구까지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한 올해 들어서 키즈 및 스포츠, 레저, 뷰티 까지 영역을 확장하며 커머스 사업의 파이를 넓혀 1030 남성 중심의 버티컬 패션 커머스의 한계를 넘어 넘볼 수 없는 한국의 대표 패션 서비스로 자리잡고있다.
[타깃 확장]
과거 무신사의 주 사용층은 1030 남성 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카테고리 확장과 더불어 기존의 1020, 2030 여성들이 많이 사용하는 커머스 앱들 인수 합병하며 여성 패션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스타일쉐어 인수·합병 이후 플랫폼별 시너지 창출 방안을 모색해온 무신사는 지난 달 개발 및 프로덕트 조직을 하나로 통합해 운영 효율화를 추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테크 부문 조직 개편에 이어 스타일쉐어가 보유한 커머스 기능과 커뮤니티 운영 노하우를 무신사 스토어로 일원화하는 통합 과정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스타일쉐어는 연내 커머스 기능을 종료하고, Z세대 여성 사용자를 위한 패션 커뮤니티 운영 역량은 ‘무신사 스냅(Snap)’으로 통합할 예정이다. 무신사 관계자는 “1020 여성 패션 시장에서 스타일쉐어가 독보적으로 쌓아온 커뮤니티 운영 노하우는 무신사 스토어와 스냅 서비스가 한 단계 진화하는데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며, “서비스 통합 과정에서 스타일쉐어 사용자와 입점 브랜드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무신사의 큰 그림 _ 무신사를 세계로!
무신사 공식 보도자료에 따르면 강정구·한문일 무신사 공동대표는 “지난해 무신사를 믿고 함께 해준 입점 브랜드와 무신사 서비스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이용해주신 고객분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패션 플랫폼의 리더로서 패션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더욱 고민하고, 올해를 브랜드 패션의 글로벌 판로를 열기 위한 원년으로 삼고 해외 사업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 Funnel 분석
단계 | 사용자 행동 | 핵심 지표 | 핵심지표를 높이기 위한 장치 |
Acquisition | SNS 광고글을 통해 앱, 웹 접속 주변인 추천을 통해 앱, 웹 접속 앱 다운로드 |
앱 유입 경로 광고글 클릭 전환율 웹에서 앱 다운로드율 |
SNS 광고 친구 초대 이벤트 |
Activation | 회원 가입 물품 탐색 장바구니 , 찜 기능 사용 콘텐츠 탐색 |
회원 가입율 앱 체류 시간 페이지 뷰 장바구니, 찜 사용 율 |
연관 상품 추천 서비스 랭킹 서비스 기획전, 콘텐츠 간편 로그인 회원 등급 혜택 |
Retention | 물품 탐색 배너 알람 통해 앱 접속 장바구니 담아둔 상품 구매결정하기 위해 접속 문자 알림 통해 앱 접속 SNS 광고글 통해 앱 접속 |
회원 가입 후 월간 재 방문율 앱 체류 시간 이탈 페이지 |
배너 알람 문자 알람 회원 등급 혜택 할인 행사 |
Revenue | 장바구니 상품 결제 상세 페이지에서 바로 상품 결제 |
결제 전환율 이탈 페이지 |
간편결제 쿠폰 행사 |
Referral | 친구 초대 이번트 참여 | 초대 이번트 참여율, 이벤트 유입 사용자 앱 사용 시간 |
친구 초대 이벤트 |
📌 무신사, 달까지 갈 수 있을까?
🤔 : 무신사, 달까지 갈 수 있을까?
😎 : 당근이지. 🥕
무신사는 현재 한국 패션 커머스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에 머무르지 않고 타겟과 카테고리 확장 전략으로 빠르게 서비스를 확장하며 이로 인한 매출상승도 보이고있다.
이러한 추세를 보아 상품군이 확대됨에 따라 무신사는 온라인 패션 커머스 시장에서 더 빠르게 더 큰 파이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젠 세계로, 무신사를 세계로, 한국 패션을 세계로!
무신사에 입점된 국내 브랜드는 0000 개 이다. 국내에 이만큼의 의류 브랜드를 보유하고있는 패션 커머스 앱은 없다. 브랜드와 상품을 보유하고있는 것 뿐아니라 패션 룩북, 스트릿 스냅등 방대한 패션에 대한 정보들을 쥐고있다.
이런 점에 있어 무신사는 한국 패션의 백과사전이라고 볼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K-pop과 K-culture가 떠오르며 덩달아 K-뷰티와 K-패션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기회에 올라타 무신사는 더 큰 시장에 도약해야될 때라고 생각한다.
올해의 전략은 타킷과 카테고리 확장이라면 다음 전략은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이다. 발빠르게 세계화 전략을 수립한다면 지금보다 더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신사를 세계로! 한국 패션을 세계로! 그리고! 나를 무신사로! ㅋ (뻔뻔)
https://newsroom.musinsa.com/newsroom-menu/2022-0927
무신사, 연내 스타일쉐어와 무신사 스냅 서비스 통합··· 패션 커뮤니티 확장 기대
2022.09.27
newsroom.musinsa.com
https://newsroom.musinsa.com/newsroom-menu/2022-0113-01
무신사, 패션 플랫폼 거래액 2조 시대를 열다
2022.01.13
newsroom.musinsa.com
https://brunch.co.kr/@trendlite/268
무신사가 유아인을 가지고도, 무아인을 만든 이유
아인이는 하나야 둘이 될 수 없어! 아니 무아인은 그 이상이 될 수 있어 | 로지, 루시, 수아 등 버추얼 인플루언서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인스타그램에서 막대한 팔로워들을 거느리고 있는
brunch.co.kr
'PRODUCT MANGER STUDY > CODESTATES_PMB_WEEKLY_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진장 신발 사진 많은 곳]이 지금의 [무신사]로 "무진장" 성장한 과정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eek 7 (0) | 2022.10.14 |
---|---|
오늘의 무신사 랭킹은 당신을 설레게 했나요 ?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eek 6 (0) | 2022.10.06 |
무신사 위클리 (0) | 2022.09.21 |
무신사 랭킹, 만족하시나요?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eek 3 (0) | 2022.09.14 |
다 무신사랑 해, 무신사 프로덕트 분석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eek 1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