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U S I N S A
브랜드 패션 쇼핑은 다 무신사랑 해
8주간의 위클리 과제도, 무신사랑 해
지난 Week 2 과제에서는 무신사 프로덕트 자체에 대해 분석하고,
인터뷰를 통해 무신사 UX에 대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인사이트를 근거로 무신사에 추가할 새기능 MVP를 만들어보고 더 생각해보자
📌 사용자 Pain point 분석 _ 무신사 랭킹 서비스, 이대로 괜찮은가?
지난 UX리서치를 다시 정리해보자.
✔️ BAD UX
- 랭킹 서비스
-가장 사용 안 합니다ㅋ. 저가형 가성비 기본 제품들이 아무래도 많이 팔려서 랭킹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고 최근에 부티크까지 들어와 이게 랭킹에? 광고 아냐?라고 생각이 들 정도에 랭킹이라 잘 보지 않습니다
- 상품 정렬 서비스
가끔 무신사 카테고리를 통해서 들어가 특정 제품보다 원하는 종류에 제품을 찾아보는 경우가 있는데 입점되어있는 브랜드가 워낙 많아 상품도 많고 앞 페이지에는 주로 저가형 가성비 브랜드로 정렬되어있어서 넘겨 보다가 지쳐서 찾아보기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콘텐츠 서비스
무신사에서 제공하는 옷 정보 콘텐츠가 너무 방대해서 콘텐츠는 잘 보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주로 다른 매체를 통해 옷 정보를 얻고 무신사에서 검색해서 구매를 합니다. 콘텐츠가 너무 방대하다 보니 내가 원하는 스타일의 정보를 더 얻기 힘들달까요?
현재의 무신사 콘텐츠, 랭킹 서비스가 옷 정보를 찾는 대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리서치 결과를 통해서 무신사가 과연 고객이 정말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가?
컨텐츠와 서비스를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무신사를 통해 옷 정보를 알아보려고 해도 내가 알고 싶지 않은 내용들까지 홍수처럼 밀려 들어온다면?
요즘 비즈니스 캐주얼에서 핫한 트렌드를 알고 싶은데 랭킹 서비스에서 값싸고 무난한 디자인의 반팔티만 주야장천 올라와 있다면?
이것이 과연 사람들이 원하는 랭킹 서비스, 콘텐츠 서비스 일까?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통해서 정말 얻고자하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그 목적을 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할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오늘은 위의 세가지 BAD UX 중에
가장 무신사 사용경험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개선시 수익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랭킹서비스를 개선하는 MVP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 서비스개선 MVP _ 무신사 랭킹 : 나에게 딱 맞는 출구없는 랭킹탭
🔖핵심 기능 정의 _ 랭킹탭에 스타일 카테고리를 추가해보자
랭킹 관련 UX를 다시 뜯어보자
가장 사용 안 합니다ㅋ. 저가형 가성비 기본 제품들이 아무래도 많이 팔려서 랭킹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고 최근에 부티크까지 들어와 이게 랭킹에? 광고 아냐?라고 생각이 들 정도에 랭킹이라 잘 보지 않습니다.
이 답변 내용을 분석해보면, 랭킹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들이 랭킹에 없기 떄문이다.
만약 저가형 기본탬 스타일을 좋아하는 인터뷰이였다면 현제의 렝킹 서비스에 만족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인터뷰이는 저가형 가성비 기본 제품 혹은 부티크 제품을 원치 않는다.
허나 그런 제품들만 랭킹들에 나열되어있어 불만을 느끼는 것이다.
이 Pain Point에 주목하여 제시하는 개선 방안은 내가 원하는 스타일의 제품들이 모여있는 랭킹탭을 만드는 것이다.
현재의 랭킹 탭은 상품 카테고리, 연령대, 가격대, 성별, 세일, 품절여부 등의 필터로 랭킹탭을 개인화할 수 있다.
이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서 내가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랭킹탭 개인화 필터에 스타일 카테고리를 추가.
💡랭킹탭을 쉽게 개인화할 수 있도록 UI를 개선한다.
🔖 Prototype _ 내가 제안하는 랭킹탭, 보자보자 어디보자
제안하는 MVP의 가장큰 핵심은 다음과 같다.
개인화 필터에 스타일링 카테고리를 추가한 것
개인화 필터를 랭킹탭 화면에 바로 노출 시킨 것
✔️ 스타일링 카테고리 추가
스타일링 카테고리를 추가함으로써 내가 주로 입는 옷스타일을 많이 찾는 사람들이 어떤 옷을 구매했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정말로 좋아할만한 옷들의 랭킹을 보여줌으로써
랭킹탭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랭킹탭을 통한 상품 구매전환율을 올린다.
✔️ 개인화 필터 노출
현재의 무신사 랭킹탭의 개인화 필터 수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랭킹탭 첫 화면에서 필터를 수정할 수 있는것은 연령대와 상품 카테고리, 성별이다.
상품카테고리는 상단에 선택할 수 있는 요소들을 롤링하여 선택할 수 있고,
연령대는 상단의 연령대를 클릭하여 아래의 팝업에서 선택한다.
연령대는 하단의 남성/여성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한다.
여기서, 가격대, 품절여부 등 다양한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상품랭킹을 한번 더 클릭해서 새로운 탭에 들어가야한다.
새로운 탭에 들어가면, 수정할 수 있는 옵션들을 롤링하여 선택할 수 있고, 옵션을 선택하면 수정할 수 있는 선택지가 펼쳐진다.
이를 보면 현재의 무신사 랭킹탭도 사용자에 맞게 필터링 할 수 있으나,
필터링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팝업창을 띄우거나 새로운 탭을 들어가야하는 등 불필요한 이동을 요구한다.
또한 랭킹탭 첫화면에서 옵션들은 산발적으로 흩어져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과 귀찮음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고, 개인화 필터 사용율을 높이기 위해
간단한 형태의 필터 옵션을 랭킹탭 첫화면에 노출 시킨다. 이를 통해 개인화 필터 사용 비율을 증가 시킨다.
🔖 사용자 시나리오
🔖 솔루션 검증 _ 과연 사용자는 변화된 랭킹탭에 만족할까?
MVP를 검증하기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랭킹탭 개선 후 랭킹 탭 사용 시간이 증가하였다.
- 개선된 랭킹탭의 개인화 필터를 사용한다. 스타일링 카테고리를 활용한다.
- 랭킹탭 개선 후 랭킹 탭을 통해 상품의 상세 정보 탐색 전환율, 구매 전환율이 증가하였다.
위의 가설을 확인을 위해 랭킹탭에 머무른 평균 시간, 스타일링 카테고리 선택율, 랭킹탭에서 상품 상세 페이지로 전환율 등을 핵심 지표로 확인할 것이다.
📌 수익모델 강화 _ 랭킹 서비스를 개선한다고 무신사 밥벌이에 도움이 되나?
🔖 현재 무신사 수익 구조 _ 수수료와 상제품 매출
지난 과제에서 조사한바와 같이 무신사의 수익 모델은 크게
상제품 매출, 수수료 매출 그외 콘텐츠 임대료 등에서 비롯된 기타 매출로 나눌 수 있다.
상제품 매출은 무신사가 브랜드로부터 직매입(사입)해 판매한 상품의 매출 + '무신사 스탠더드' 등 무신사가 직접 전개하는 브랜드와 무신사가 입점 브랜드의 재고 관리를 직접 담당하는 브랜드의 매출을 합한 것이다.
수수료 매출은 무신사가 입점 브랜드로부터 받는 입점·유통 수수료 수익이다.
2017년 무신사 스텐더드 런칭이후 꾸준히 증가 하여 2021년 기준 수수료 매출보다 상제품 매출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랭킹서비스 개선과 수익 구조 강화
랭킹 서비스는 사용자의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이다.
꽤 많은 사람들은 랭킹서비스를 통해서 상품을 탐색하고 구매로 전환한다.
이러한 랭킹서비스를 사용자의 진정한 니즈에 맞게 개선한다면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상품들을 더 효율적으로 노출 할 수 있고,
자연스래 사용자의 랭킹탭 사용 시간이 증가할 것이고, 이에 따라 구매율도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게 한다면 더 많은 상품을 판매하게 되어 더 많은 수수료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타일 카테고리에 '스텐다드', '무신사 스텐다드'등의 카테고리를 추가한다면 상제품 매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PRODUCT MANGER STUDY > CODESTATES_PMB_WEEKLY_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진장 신발 사진 많은 곳]이 지금의 [무신사]로 "무진장" 성장한 과정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eek 7 (0) | 2022.10.14 |
---|---|
오늘의 무신사 랭킹은 당신을 설레게 했나요 ?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eek 6 (0) | 2022.10.06 |
무신사, 달까지 가자!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Week 5 (1) | 2022.09.28 |
무신사 위클리 (0) | 2022.09.21 |
다 무신사랑 해, 무신사 프로덕트 분석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eek 1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