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DUCT MANGER STUDY/CODESTATES_PMB_DAILY_HW

현무 기안 등에 업은 공구마켓, 어디쯤 왔나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6D3

by 소소여니 2022. 10. 4.
728x90

 

현무, 기안 등에 업은 공구 마켓, 어디쯤 왔나 

요즘 티비보다가 엌 전현무랑 기안 84랑 CF 찍었네!!!! 대박 ㅋㅋ 하면서 마음속에 담아둔 공구 마켓

나는 첨 듣는 서비스여서 신생 서비스인 줄 알았는데 무려 2017년에 오픈한 서비스라니...!

대량 구매가 버거운 나혼산 자취생에겐 아주 반가운 공동구매 서비스.

과연 이 서비스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 지금은 어디까지 왔을까?

나도 한번 써볼까나!?

어디 한번 제대로 들여다보자 :)

 

📦What is 공구 마켓?

제이슨 그룹에서 출시한 첫 모바일 쇼핑앱인 공구 마켓은 차세대 공동구매 쇼핑앱을 표방하고 있다. 고객들이 원하는 높은 퀄리티의 제품을 개발해 유통단계를 최소한으로 줄여 공동구매의 장점인 합리적인 가격을 그대로 살렸고, 공동구매의 단점인 인원과 시간제한은 없애 누구나 언제든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는 획기적인 쇼핑앱이다.

📦공구 마켓 플레이스

💡 공구 마켓의 서비스 유형은 마켓 플레이스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전자상거래와 마켓플레이스 서비스의 차이점에 대해서 고민이 컸는데,

전자상거래는 물류를 직접 관리하여 서비스의 주체가 판매의 주체가 되어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였고,

마켓플레이스는 서비스의 주체는 상품 판매의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닌 판매자들과 소비자들을 이어 주어 판매의 장, 플레이스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을 봤을 때 공구 마켓에는 다양한 판매사가 입점하여 각자의 물건을 판매하고 있으므로 마켓 플레이스에 가까운 서비스라고 생각했다.  

📦기안, 무무를 등에 업은 공구 마켓

린 분석에 기반하여 공구 마켓은 지금 어떤 단계에 위치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린분석에 따르면 서비스의 사업 단계를 공감- 흡인력-바이럴-매출- 확장 단계로 나누어 분석한다. 

💡내가 분석한 바로 공구마켓은 현재 흡인력 단계를 넘어 바이럴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미 누적 다운로드 수 512만 건, 월간 순 사용자(MAU) 500만 명의 수치로도 알 수 있듯이 탄탄한 소비자층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 공구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이슨 그룹이 배포한 보도자료의 내용에 따르면 공구 마켓의 수요에 대한 부분은 확실하게 확인한 단계임을 알고 있다.

 

22년 들어 기안 84와 전현무 같은 젊은 층의 인지도 높은 연예인을 섭외하여 TV광고를 시행하고,

"회원가입"시 다양한 혜택이 있음을 적극적으로 광고하며 신규 회원을 늘리기 위한 적극적 마케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들을 보아, 공구 마켓의 공구 시스템에 대한 수요의 확신을 가지고 사업을 더 성장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바이럴 활동을 하는 바이럴 단계에 도달하였다고 생각했다.  

📦 열린 귀의 공구 마켓  

현재의 공구 마켓은 app store 기준 쇼핑 앱분야에서 8위를 차지할 정도이다. 공구마켓은 어떻게 공감 과정과 흡인력 단계를 돌파하였을까?

내가 생각한 공구 마켓은 공동구매 시스템을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파악하며 그들의 니즈에 "공감"하고,

공동구매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타깃으로 하여 시스템을 안정화, 확대하며 사업을 성장시켰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실제 공구 마켓의 전략은 어떠했을까? 

공구 마켓은 사용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공구 마켓의 앱 공지사항을 보면 매달 앱 리뷰 작성 이벤트를 시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앱을 사용하면서 기술적인 문제, 물류와 배송의 문제 등 다양한 소비자들의 쓴소리와 칭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였다. 또한 판매 상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리뷰와 평가에 따라 입점사에 페널티를 부과하거나 판매를 관리하며 상품의 질 등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하였다. 

 

이러한 전략으로 시스템을 안정화하고 사용자들의 만족감을 관리하였다.

이를 통해 주사용층인 합리적 소비를 하는 30~40대의 큰 지지를 받아 흡인력 단계를 돌파하였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공구 마켓을 통해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진정한 경험담을 적극적으로 듣고, 고민하고 수용해야 함을 배울 수 있었다. 

 

 

 

 

https://jasongroup.co.kr/news_read.html?postNo=48 

 

제이슨그룹

데이터 기반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운영, 콘텐츠와 퍼포먼스마케팅을 융합한 IT 커머스 비즈니스 그룹

jasongroup.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