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시작한 코드스테이츠 PM 부트캠프!!
두근 두근 첫 과제 시작!
아자아자 화이자
오늘 다룰 내용
1.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2. Product Manager의 업무 역량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어쩌면 용어도 생소하고 정의가 모호한 PM.
현재 올라와있는 PM 채용 공고들을 분석해보고, PM이란 무엇인가 생각해보자.
지금 채용 사이트에 올라온 PM공고 4개를 무작위로 골라 정리했다.
기업 이름 | (주) 야나두 | (주)더블유컨셉코리아 | 인터엑스 | (주)틱스잇 |
채용 직무 명 | 사업 PM | 서비스 기획자 (PM) | PM / PL | 사업관리 PM (여행) |
업무 (JD : Job Description) |
- 야핏 사이클 신규 콘텐츠 기획 - 개발사 커뮤니케이션 및 일정 관리 -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사이트 도출 |
- W컨셉의 프로덕트를 기획하고 개발자, 디자이너, QA담당자와 협업 - 대상 도메인 : 회원, 상품, 외부연동, 주문/결제/쿠폰, 배송/물류, 정산/셀러, UI/UX - 중장기 전략에 기반해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프로젝트 일정관리 - 문제 해결을 위해 영업/마케팅등 다양한 부서와 커뮤니케이션 가이드 |
- AI 제조 솔루션 분야 프로젝트 PM/PL 역할 수행 - 머신러닝/ 딥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분석 인사이트 발굴 - 프로젝트 일정 관리 및 소통관리 - 정부 지원사업 대응 산출물 관리 |
- 여행관련 비즈니스 및 솔루션 사업 PM - 개발 일정 및 인력 관리 - 조직간 커뮤니케이션 및 조율 -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수행 - 보고서 작성 및 문서 관리, 유지 보수 등 프로젝트 - 사업 관리 업무 |
자격 요건 | - 앱 서비스 기획 또는 PM경력 3년 이상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보유하신 분 - MS Office를 이용한 문서 작성 및 보고 능력 |
- 대졸 이상 (4년) - 경력 8년이상 (이커머스 업체에서 서비스 기획/PM/PO 경력 5년 이상) - 이커머스 신규 서비스 도입 및 개선 프로젝트 리딩 경력이 있는분 - 설득력있는 PRD 작성이 가능한분 |
- AI 기반 기술 및 최신 트렌드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으신분 - 프로젝트 관리 및 수행 경험이 있으신분 - 제조 및 품질 등 제조 관련 업무 수행 경험이 있으신분 |
- IT 경력 7년 이상 - SW 아키ㅔㄱ쳐와 프로젝트 수행 방법론에 대한 이해가 높으신 분 - 협업툴 사용 가능하신분 - JAVA 기반 웹서비스 개발 경험 있으신분 |
우대 조건 | -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가 높은 분 - PM 직무에 이해도가 높은 분 - 게임 사업 PM 또는 앱 서비스 기획자 |
- 이커머스 업체에서 회원, 상품/외부 연동, 주문/결제/쿠폰, 배송/물류, 정산/셀러, UX/UI 기획 경험이 있으신분 - 개발자와 긴밀하게 협업하면서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 있으신분 |
- 제조 IT 프로젝트 경험자 우대 -PMP, ADSP 자격증을 가지고 계신 분 - 산업공학, 기계/자동차, 조선공학, 컴퓨터/시스템 공학 전공자 - 머신러닝/데이터마이닝/통계/산업공학 등 관련분야 석박학위 - 정부과제를 주도적으로 진행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 - 비즈니스 영어가 가능하신분 |
- 여행관련 플랫폼 구축 업무 경험 - AI 및 빅데이터, 블록체인 관련 구축 업무 경험 - 품질 관리 가능하신분 |
같은 PM이라도 각 회사의 사업에 따라 업무, 자격등에 차이는 있겠지만,
공고에 업무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있는 키워드를 정리하고 PM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지 분석해보자
✔️업무 부분에서 찾은 공통 키워드✔️
- 인사이트 도출
- 기획.설계
- 커뮤니케이션
- 프로젝트 일정관리
이를 보면 PM은
어떤 개발하려는 상품의 인사이트 및 요구사항을 도출해서 무언가를 기획, 설계하는 일을 하고
프로덕트 매니저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 매니징 즉 프로젝트 일정 관리 및 전반적인 프로덕트의 큰 흐름을 관리하는 일을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혼자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결절과정에서 다른 직무의 팀원들과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내가 이해하고 정의하는 PM은
프로덕트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팀원들과 끊임없이 커뮤니케이션하며 일정 및 리소스를 관리등 프로덕트의 큰 갈피를 잡는 역할을하는 것이다.
더붙여 오늘 학습 내용에서 PM의 정의에 대해 가장 와 닿았던 문장이 있어 인용하고자 한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함께 만들어야 할 것을 기획함으로써 사업가치와 고객가치 라는 결과를 창출하는 책임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Product Manager 의 업무 역량
그럼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멋진 PM으로 성장할 수 있을까
위와 같이 채용공고의 조건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내용을 통해 분석해보자
✔️조건 부분에서 찾은 공통 키워드✔️
- 커뮤니케이션
- 경력, 업무 이해도
- 문서 작성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앞에서 말한 것처럼 PM은 혼자 일하는 것이 아닌 다른 팀원들과 함께 프로덕트를 끌고나가는 역할이다.
이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은 몇번을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다.
모든 팀원의 상황을 공유하고 이해해야하는 만큼 디자인, 개발, 비즈니스의 넓은 이해도가 필요로 된다.
각자 역할을 수행하고있는 팀원들과 적졀히 커뮤니케이션하며 서로의 이해를 나누고 모든 팀원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며 나갈 수 있도록 관리해야한다.
❗업무 이해도❗
PM은 팀원들을 이끌어 프로덕트를 관리하는 직무인 만큼 본인 업무와 현재 진행중인 프로덕트에 대한 이해도가 중요하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덕트에 대해 누구보다 깊고 정확하게 이해를 하고 있어야지만이 다른 사람들을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이다.
프로덕트를 관리하는 PM마저 프로덕트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면 프로덕트는 산으로 흘러갈 것이다.
❗문서 작성 능력❗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면으로 진행하는 회의와 같은 커뮤니케이션도 물론 중요하지만 메일로 문서를 주고받으며 하는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또한 중요하다.
작성한 문서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작성자의 의도를 쉽고 오해없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다른 사람들을 이해시키고 설득시킬 수 있는 문서 작성 능력이 필요하다.
이 밖에도 PM이 갖추어야할 역량들은 많다.
PM은 기본적으로 팀과 함께 무엇을 어떻게 만들지 고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선 고객과 시장을 이해해야하고 이를 위해선 가설-검증 및 데이터 분석 과정을 거쳐야한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능력은 PM 중요한 역량이다. 이 외도 아이디어를 현실로 기획하고 일정과 리소스를 관리하는 능력,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읽고 프로덕트에 적절히 적용하는 능력등 다양한 역량들이 필요하다.
💭내가 그리는 PM
PM을 꿈꾸며 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를 당차게 시작했다 오예! 오티전 간단한 자기소개를 작성하면서 나는 PM으로 성장하고싶은가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어떤 일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동기부여 라고 생각한다. 나의 팀원들이 함께 공동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공동의 납득과 동기가 필요하다. 나는 그 누구도 낙오시키지 않고 나의 비전과 목표를 납득시켜서 모든 팀원들이 게스트의 마음이 아닌 호스트의 마음으로 함께 프로덕트를 만들어나가도록 이끄는 그런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고싶다. 언변만 현란한 PM이아닌 데이터 분석과 시장 및 고객 분석 등 납득 가능한 근거를 바탕으로 참신한 아이디어와 든든한 기획력을 갖춘 팀원들이 당연히 믿고 따를 수 있는 그런 PM으로 성장하고싶다.
그렇게 될 수 있도록 13주간 열심히 듣고 읽고 쓰고 배우자!
헤헤 첫과제 끝이당
'PRODUCT MANGER STUDY > CODESTATES_PMB_DAILY_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편된 네이버 웹툰의 UI, 유저는 어떻게 생각할까?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2D3 (0) | 2022.08.31 |
---|---|
onthelook과 나의 JTBD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2D2 (0) | 2022.08.30 |
푸딘코와 Design Thinking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2D1 (2) | 2022.08.29 |
시장 조사와 대안제 근데 이제 RunDay를 곁들인..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1D4 (0) | 2022.08.25 |
남의집의 PD Life Cycle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1D2 (1) | 202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