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DUCT MANGER STUDY/CODESTATES_PMB_DAILY_HW

패션앱 춘추전국 시대에 브랜디, 1020 여성 패션 시장을 장악해보자!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 W3D3, W3D4

by 소소여니 2022. 9. 7.
728x90

무신사, 지그재그, 에이블리, 브랜디.,, 

패션앱 춘추전국시대라고할수있따. 

각자 저마다의 포지션을 잡고 그 영향을 넓혀가며 치열하게 성장하고있따. 

 

그중에 내가 가장 사용하지 않는 어플은 브랜디 이다. 

무신사, 지그재그는 자꾸만 열어보게 되는데 왜 브랜디에는 먼지가 쌓이는 걸까! 

과연 브랜디는 잘 성장하고 있는 것이 맞을까?

 

브랜디의 KPI를 알아보고 브랜디의 성장 흐름을 파악해보자

그리고 브랜디가 더 성장하기 위한 새로운 목표설정을 해보자!


 

🚚 What is BRANDI?

브랜디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패션 쇼핑 앱으로 

지그재그, 에이블리, 브랜디 이렇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여성 패션 쇼핑 어플중 하나이다.  

 

이러한 브랜디의 핵심 성장 지표를 알기 위해선
브랜디를 만든 (주)브랜디의 Apps전략과 그 안에 브랜디의 브랜딩과 포지션을 이해해야한다.

 

(주)브랜디는 "We are building the NEXT commerce"를 비전하는 버티컬 커머스 스타트업이다. 

고객이 있으면 반드시 연령/성별/취향에 따른 버티컬 커머스 니즈가 있다는 믿음으로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며,

Apps 전략으로 고객의 니즈에 맞는 새로운 버티컬 플랫폼을 매년 런칭하고 있다. 

 

(주)브랜디의 Apps전략은 고객의 니즈를 세분화하고,
이 니즈에 맞는 맞춤형 커머스 앱들을 론칭하는 버티컬 커머스 지향형 전략이다.

 

“2025년 쇼핑 앱 50위권 내 40개를 진입시키는 버티컬 1등 기업이 된다”를 목표로 하고있다.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이란 패션 인터리어 등 특정 카테고리 제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으로,

쿠팡등 다수 카테고리 품목을 취급하는 종합 커머스와 달리 타겟 연령층, 상품군을 특정 지을 수 있는것이 특징이다. 

 

(주) 브랜디는 철저하게 타겟에 집중한 독립된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

극단적이라고 할만큼 타겟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몰입하고있다.

 

현재 (주) 브랜디는 아래와 같은 어플들을 런칭하여 타겟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MZ세대 여성 라이프 쇼핑 앱 "브랜디"

- MZ세대 남성 라이프 쇼핑 앱 "하이버"

- 30대 여성 패션 쇼핑앱 "플레어"

- 20대 여성 브랜드 패션 쇼핑 앱 "서울 스토어" 

- 패션 풀필먼트 서비스 "헬피"

- 동대문 도소매 B2B 플랫폼 "셀피" . 

 

오늘 대상 프로덕트인 브랜디는 1020 여성 라이프 쇼핑 커머스로 포지션닝하고있다. 

그렇다면 브랜디의 성장을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타겟 대상들이"  브랜디에 편안함과 만족감을 느끼며 브랜디를 주 패션 거래 어플로 사용하고 있는가?
를 확인해야한다. 

 

그렇다면 브랜디는 위에 질문들의 답을 찾기 위해 어떤 지표를 핵심 성장 지표로 삼고 있을까?

먼저 타겟이 1020 여성이므로 1020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지표에 집중해야한다.

전체 패션 커머스 시장에 대한 지표로 브랜디를 비교한다면 설정한 목표에 맞게 잘 성장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1020여성 패션 커머스 시장내 총거래액을 확인하면 되는걸까? 이떄  브랜디의 주 거래 상품에 주목해야한다.

1020여성 브랜드 쇼핑몰 서울 스토어가 있는 만큼, 브랜디는 1020여성을 타겟으로한 보세 의류 및 소품을 주로 취급한다.

위의 오픈 서베이에서 제공하는 MZ세대 패션앱 트랜드 리포트에 의류 구매시 1회 지출비용에

브랜디는 다른 쇼핑 앱보다는 1만원 미만, 1만원 이상 ~ 3만원 미만의 구간에서 높은 수치를 보여준다.

따라서 다른 쇼핑앱들보다는 객단가가 낮을 수 있음을 인지하고,  총거래액 보다는 총 거래진행수 즉, 거래 전환율, 재 구매율 등을 핵심 지표로 봐야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재구매율에 집중할 것이다.

브랜디에서 재구매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서비스를 사용함에 만족하고

브랜디를 주패션커머스로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이기 떄문이다. 

 


🚚 "자꾸만 열어보고 싶은 브랜디"를 만들자!

2022 MZ세대 패션앱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브랜디가 지그재그, 에이블리보다 구매전환율, 주거래전환율이 낮다. 

이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1020여성이 편하게 잘 사용할수 있는 패션 커머스를 만드는 것이 목표였다면 

나는" 자꾸 열어보고싶은 커머스앱"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할것이다. 

어플을 습관적으로 자꾸 열어보고 작은 것부터 한두개씩 브랜디에서 구매하다보면, 자연스래 브랜디를 주거래 어플로 사용하지 않을까?

 

"빠르게 변화하는 트랜드를 브랜디에서 따라 잡자. 자꾸 열어보고싶은 브랜디"

 

유행에 민감한 1020여성들을 타겟으로 하고있는만큼 

유행이 빠르게 변하는 의류를 포함한 패션 소품, 악세사리, 펜시 등의 신상품을 

매일 매일 빠르게 업데이트하면서 어플을 자주 열어보도록하는 것이다. 

그리고 구매 장벽이 낮은, 가격이 저렴한 작은 소품들을 먼저 배치해 쉽게 결제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구매 전환율을 올린다. 

이러한 상품들을 빠르게 구매해서 빠르게 받아 볼수 있다라는 점을 강조해 브랜디를 사용해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이때의 핵심지표는 사용자별 일주일 평균 앱 접속 수와 구매 전환율을 핵심지표로 삼을 것 같다. 

key : 어플 접속 빈도 증가로 인한 총 거래 수 증가 
performance : 어플 접속 빈도 증가, 거래 수 증가 
indicator : 1인 일주일 어플 접속 수, 구매 전환율 

🚚"자꾸만 열어보고싶은 브랜디"? 어떻게 ? 

오늘 강의에서 배운 OKR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자꾸만 열어보고싶은 브랜디"를 만들기 위한

objective, key results, initiative를 정리해보자 

 

✔️ Object
- 1020여성 패션 커머스 시장 점유율 50% 달성 

✔️ Key Results
- 4개월 내에 일주일에 7번이상 앱 접속하는 사용자 60% 달성
- 1개월간 1번 이상 구매진행 사용자수 40%달성
- 4개월 내 입점 스토어 50%증가

✔️Initiative
- 브랜드 입점 프로세스 개선 
- 쉽게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저렴한 제품이나 후킹 제품들을 홈화면 상단에 배치 
- 최신 트렌드와 유행 스타일을 빠르게 전달하는 소통 채널 개설 
- "빠르게 변화하는 트랜드를 브랜디에서 따라 잡자. 자꾸 열어보고싶은 브랜디"를 강조한 마케팅

 

✔️ Object

1020 여성 패션에 집중하는 버티컬 커머스 앱인 만큼 1020 여성 시장만은 꽉 잡아야하지 않을까?

남자 패션 시장에 무신사가 있다면 1020여성 패션 시장엔 브랜디가 있다.

1020 여성 패션 시장내 점유율 50% 달성. 충분히 가슴뛰는 목표이지 않을까!

 

✔️ Key Results 

Key Result는 업무 활동이 아닌 성과 결과여야한다. 라는 것을 명심하며 작성하고자했다. 

 

자주 열어보고 자연스럽게 구매를 유도하자 했던 위에 설정했던 전략처럼 아래와 같이 Key Result 를 설정하였다. 

- 4개월 내에 일주일에 7번이상 앱 접속하는 사용자 60% 달성
- 1개월간 1번 이상 구매진행 사용자수 40%달성

사실 60%, $0%라는 수치는 실제로 브랜디내에 몇퍼센트의 사용자들이 접속을 하고 구매를 전환하고 있는지

자세히는 알수 없으므로 이는 뇌피셜로 작성하였따. 아무튼 올리자는 뜻. 

 

또한 자주 열어보자를 유도하는 것은 매일 업데이트 되는 신상품! 이었다. 

신상품이 많으려면 입점된 스토어가 많아야한다. 그래서 아래의 Key Result를 설정하였다. 

- 4개월 내 입점 스토어 50%증가

입점 스토어를 폭발적으로 늘리면 당연히 신상품들과 기존에 없었던 제품들이 많아지고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브랜디 어플에 더 자주 접속하지 않을까. 

 

✔️ Initiative

각각의 Key Result 를 실현할 수 있는 또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작성하였다. 

4개월 내 입점 스토어 50%증가
👉 브랜드 입점 프로세스 개선 

입점 스토어를 증가라는 것을 다각도로 고민해보아야할 필요가 있다. 

- 그럼 스토어가 입점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할까? 
- 스토어 입장에서 비교적 시장 점유율이 낮은 브랜디를 선택하는 이유는 뭘까?

- 스토어가 브랜디에 입점하고싶어지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러한 브랜디에 입점하고자하는 스토어의 입장에서 프로세스를 재 점검하고 

쉽게 브랜드가 입점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브랜드 입점률을 올린다. 

 

1개월간 1번 이상 구매진행 사용자수 40%달성
👉 쉽게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저렴한 제품이나 후킹 제품들을 홈화면 상단에 배치 

브랜디에 주기적으로 접속해서 쉽게 구매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연령층을 고려하여 고가가 아닌 제품(가장 많이 구매가 이루어지는 금액대의 제품), 빠르게 사고싶은 후킹 제품들을 

전략적으로 전면에 배치하여 주타겟층이 쉽게 큰 고민 없이 구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4개월 내에 일주일에 7번이상 앱 접속하는 사용자 60% 달성
👉최신 트렌드와 유행 스타일을 빠르게 전달하는 소통 채널 개설 
👉"빠르게 변화하는 트랜드를 브랜디에서 따라 잡자. 자꾸 열어보고싶은 브랜디"를 강조한 마케팅

어떻게 해야 브랜디를 자주 열어보고 싶을까.

일단 옷이나 소품에 대한 소비 욕구가 있어야 쇼핑 어플에 접속하고 싶지 않을까?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비자와 소통하며 옷과 트랜드에 대한 관심도를 올리고 이 관심으로 브랜디에 접속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준비된 바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마케팅을 진행한다. 


💭W3D3 회고💭

👍잘한 것

- 몰입학습 시간에 집중을 잘했다! 

- 과제할떄 강의내용, QA시간에 내용을 녹아보려고 고민하고 노력했다!

👎못한 것

- 과제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렷따.  

- 필수 아티클을 좀 호로록 읽었다. 

💪 더 잘할 수 있는것

- 필수 아티클을 읽을떄 좀 열심히 읽는게 좋을듯하다 

- 담주부턴 운동을 시작하자...!

 

3주차부터 힘들어도되는건가요~~~~ 남은 10주 안녕할까요~~~~~~~

이번주 과제 와이리 어렵노.... 지금 과제에 대한 자신감이 W1D1로 돌아갔따.... 힝힝

뭔가 원인-> 새로운 목표 -> 목표에 따른 전략 을 말해야하는데 원인부터 흔들리니 그 다음을 이어갈수없다. 흑... 음.... 

개요먼저 정리하고 글을 써보려고 노력하는데 뭔가... 맘에 안든다!!!!!! 힝!!!!!!!!!!!!!!!!!!!!!

그래도 곧 추석이니 추석에 마음의 여유을 가지고 더 고민하고 수정해보자..... 뭔가 오늘 안에 끝내야한다!! 바쁘다! 라는 마음이 있으니까 마음이 쫄려서 더 생각을 잘 못하게 되는것같다. 으흠

어렵다 어려워.... 그래도 아자아자화이자... !

아모튼 오늘은 잘 넘겼다... 


 

https://blog.opensurvey.co.kr/article/mz-fashion-2022-2/

 

지그재그 vs. 에이블리 vs. 브랜디, MZ세대 여성 패션 앱 비교 - 오픈서베이 블로그

'MZ세대 여성 패션 앱’ 하면 떠오르는 브랜드 TOP 3로 지그재그·에이블리·브랜디를 꼽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그재그 vs. 에이블리 vs. 브랜디, 여성 패션 앱 3사의 향후 경쟁 구도는 어떻게 달라질

blog.opensurvey.co.kr

 

728x90